<공동정범>은 공동정범이란 이름 아래 국가폭력에 희생 당한 이들의 이야기를 끈질기게 쫓아간다. 용산 참사 당시 우연히도 바로 두 블럭 옆 건물에 출근을 하던 때였고 이름도 얼굴도 모르던 이들이 돌맹이를 던지며 경찰과 대치 중인 모습을 목격 했었다. 하룻밤 사이 그 곳에서 사람이 죽어나갔다는 이야기를 듣고 당시 기사로도 작성했으며 기회가 될 때마다 남일당 건물에 들렸지만 나는 이것을 어떻게 기억하고 가져가야 할 지 막막했다. 망루에 올라갔던 이들이 출소 후 어떤 삶을 살고 있을지 가늠해 본 적 없었고 영화를 통해서야 그들이 지나왔을 처절하고 잔인한 시간들에 대해 전해 들을 수 있었다. 망루에 올랐던 이들 중엔 용산 재개발 구역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이들도 있었지만 다른 지역에서 철거 연대 운동을 하던 이들이 더 많았다. 사고 후 살아남은 이들은 마음을 추스를 새도 없이 '공동정범'이란 이름으로 한데 묶여 5년간 감옥에 들어가야만 했다. 그들이 서로의 얼굴을 대면할 수 있었던건 출소 후 '용산참사 진상규명위원회'가 마련한 자리를 통해서다. 개인들의 인터뷰에서 일부는 왜 그들이 서로 만날 수 없었는지 그리고 망루 안에서 마주했던 공포에 대해 이야기 나눌 기회가 없었음에 한탄했다. 일부는 망루 농성을 주도했던 이충연 위원장을 향한 서운함도 드러냈다. 공통된 기억과 트라우마를 가지고도 거기서 비롯된 개인이 일상으로 가져갔을 무게는 다 달랐겠지만 (국가에 의한) '고립'으로 인해 겪었을 상처는 모두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두 번째 만남에서는 당시 망루에서의 이충연 위원장의 선택을 두고 누구 하나 비난하는 이 없었고 오히려 '나라도 그 상황에 처해있었다면 그렇게 했을 것'이라며 위로를 해준다. 이는 5년간 이 위원장을 가장 힘들게 괴롭힌 상처였다. 이들이 와해되지 않고 그 위로의 몇 마디를 주고 받을 기회만 있었더라도 그는 그렇게까지 인고의 시간을 견디지 않았어도 될지 모른다. 물론 사건 직후 모든 것을 풀어내긴 어려웠을 지라도 조금은 덜 외로웠을거다. 영화 <공동정범>은 이 외로운 이들을 위해 카메라를 들었다. 영화 초반 우리가 미디어를 통해 접했던 불길이 치솟은 용산 참사의 모습은 지금도 마주하기 어렵지만 우리는 이들의 목소리를 잊지말고 들어주어야 한다. 그것이 최소한 우리가 할 수 있는 연대의 시작이리라. 1월 25일 개봉!



* 영화 말미에 스크린을 가득 메우는 이명박과 김석기의 얼굴 (쌍판)을 보면 없던 호랑이 기운도 솟구친다는 ^*^

(당시 작성했던 기사는 신문사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실되었고 내 개인 블로그로 공유했던 기록만으로 남아있다 : 용산 철거민이 옥상에 올라갈 수 밖에 없던 이유 / 지난 20일 새벽 망루에 올라갔었던 박모 씨 사연 https://blog.naver.com/choi5765/90041334718)


'rewi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떠한 것들  (0) 2017.08.10
수영  (0) 2017.07.11
흔들리는 물결  (0) 2016.11.15
<캐롤>에서 좋았던 것들 (좋았던 연출자의 선택들)  (0) 2016.02.13
취향과 나의 위치  (2) 2015.07.19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