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포드 연구 전문가라고 하는 미국의 비평가 '태그 갤러거(Tag Gallagher)'가 존 포드 탄생 120주년을 기념해 부산 영화의 전당에 이어 서울아트시네마에도 찾아왔다. 범상치 않다는 그의 용모에 대해 미리 귀띔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상 위로 올라온 그를 보자 과연 탄성이 흘러나왔다. 마치 70년대 히피족을 지나와 노년에 동네 바에서 매일같이 맥주 한 잔을 끼고 그레이트풀데드나 메탈리카를 들을 거 같은 옆집 할아버지 느낌. 그래서 한참을 두리번거렸는데 그 흔한 팔뚝에 거미줄 문신은 찾아볼 수 없었고, 그래봤자 많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내가 보아왔던 일련의 비평가들과는 확연히 비교되는 모습이었다.


 소개를 부탁하자 긴 설명 할 거 없이 준비해온 영상을 본 뒤 다시 만나자고 하는 그의 태도는 사실 조금 생경했다. ("I don't want to talk too much"라고 말하셨던듯) 내가 아는 또는 생각하는 비평가의 몇 안되는 이미지라곤 좋고 싫음이 분명한데에 주저없이 후두두둑 말을 쏟아내거나 정말 조근조근 생각을 풀어내는 사람들 정도이기 때문이다. '존 포드'를 좋아하는데다 그런 용모이시면 거침 없는 마초적인 느낌에 오승욱 감독님 같이 대번에 열변을 토해내실것만 같았는데 음, 어떤 온도의 사람이실까 궁금증이 일었고 조금 멈칫했다. 영상을 상영한뒤 이어진 자리에서도 그는 내가 기대했던 '달려드는 모양새'를 취하진 않았지만 때때로 소년과 같은 격앙된 목소리로 입을 모으곤 했다.

'말하는 모양새'에 대해 이야기가 나오니 떠올랐는데 아까 아트시네마 로비에서 익숙한 목소리를 듣고는 고개를 돌려보니 다름 아닌 허문영 쌤이셨다. 순간 느낌이 굉장히 이상했던게 '말투는 조근조근하지만 성량이 풍부해 멀리서까지 들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보통 '조근조근하다'라는 것은 목소리를 낮추어 차근한 모양새로 말을 풀어나가는 것인데 이게 또 큰 목소리로도 가능한거구나. 새삼 신기해서 한참을 귀기울여버렸다. 강연 전에 은경 언니가 태그 갤러거의 목소리를 두고 굉장히 조용하신 분이라고 말했었던지라 그에 더 신경이 기울었나보다. 원체 성량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때때로는 왠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를 내냐는 사람들이 더러 있어 요즘의 나는 적당한 데시벨의 목소리와 덜 호들갑스러운 목소리의 지점을 찾고 있다. 나는 너무도 방정 맞다.

1시간 조금 안되는 시간동안 아-주 많은 이야기가 오간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드문드문 기억나는 이야기들이 몇 있다. 이건 그의 목소리 톤으로 직접 들어야 느낌이 더 사는데 그냥 혼자만 알고 있기엔 아까워서 말이다. 태그 갤러거의 목소리는 뭔가 심드렁한듯 하면서도 자신의 그 진심을 알아주지 못하면 서운해하는 어린 아이 같은 느낌이 있다. 갈수록 점점 '확신에 찬듯' 말하는 사람들에 대해 이물이 나기 시작했는데 오늘 같이 이렇게 귀여운 애정으로 똘똘 뭉친 사람을 보긴 또 간만이다.

초반에는 마냥 이야기를 들으며 깔깔대다가 후반에 메모했던 것을 옮겨보자면 어느 관객이 "존 포드 영화 중에서 혹시 싫어하시는 작품이 있으신지? 싫어하시는 것까진 아니더라도 좀 덜 좋아한다던가 하는게 있으신지요?"라고 조심스레 물었다. 왜냐면 초반에 그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것은 어려워도 싫어하는 것에 대해 얘기하는 건 어렵지 않다'와 같은 식으로 말을 한 바 있었기 때문일터. 그러자 그는 "Why do you ask such thing?"이라며 투정 섞인 목소리를 낸다. 이어 궂이 말하자면 <도노반의 산호초>에서 스키 타는 장면을 정말 싫어한다! "그러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말해줄 수 있나요?"라고 하니 대번에 "No!"라며 고개를 돌려버리는 이 할아버지! 그 No의 뉘앙스는 마치 조카에게 '이모 이거 한 입만 주면 안돼?'라고 물었을때 싫어!하는 것과 같은 느낌. (난 또 혹시나 존 웨인이 여자의 엉덩이를 때리는 장면!이라고 말했더라면 순간 'Me neither!'이라며 자리에서 일어날뻔 했네.)

그리고 로셀리니와 존 포드에 대한 책을 쓰셨는데 둘의 공통점이 있다면 어떤게 있는지? "둘 다 카톨릭이다" (관객 좌중 웃음) "근데 이건 진지한거야. 둘 다 교회에 다니거나 하는 신실한 카톨릭은 아니지만 그 종교라는 것이 그들의 세계관에 어떤 영향들을 주었고 모두 역사에 대한 관심이 굉장하기 때문이지. 그리고 로셀리니 역시 무르나우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어!"

앞서 보여주었던 영상은 그가 여태까지 직접 매킨토시로 편집하며 코멘터리를 덧붙였다는 존 포드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 영상으로서 비평하는 방식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왜 다들 하지 않는 건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다시 한 번 근래 지혜언니와 함께 고민했던 부분들에 힘을 얻게 되던 순간! 

오늘 하스미 시게히코의 <오즈 야스지로>를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에서도 그렇고 태그 갤러거를 만난뒤 새삼 '영화를 보는 태도'에 대해 생각하며 '비평'이란 것이 '애정'에서 출발한다는 것임을 새삼 되짚어 볼 수 있었다. 좋아하는 영화들에 대해서는 그리도 호들갑을 떨면서 '싫다고' 짐짓 지나쳐버렸던 영화들을 다시 돌이켜 본 적은 있는 지에 대해 반성하기도 했다. 수 십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오즈의 영화가 풍부하게 읽히고, 보이는 것을 보면 단순히 물리적인 작품에 한정된다기보다 개별로서의 '현상'으로 다가오기까지 한다. 왜 나는 '오즈적인 것'에 대해 입을 모으면서도 그것을 한정하려 했는가. 애정을 표하면서도 어찌 그것들이 모두 엇비슷한 것들의 반복이라고만 느꼈던 것인지. 오즈에 대한 하스미 시게히코의 애정 어린 시선들을 보며 나는 과연 그에 얼마나 충실하게 감정을 표현했었는가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태그 갤러거는 마지막으로 "아니, 존 포드 영화는 100편이 넘는데 지금 서울아트시네마 이 곳에서는 단 16편만을 튼다고 한다. 이거 다들 피켓을 들고 데모해서라도 모두 10번 이상 틀게 하라!고 해야하는거 아닌가! (프로그래머 김쌤을 가리키며) He wants your help! GO FOR IT!"라는 말을 남겼다. 우선 이 참에 줄곧 지나쳐왔던 존 포드를 만나볼 참이고 앞으로야 뭐 모스필름, 올리베이라(ㅠ_ㅠ), 베니스, 친구들영화제가 남아있으니 당분간 데모할 일은 없을테지. 사실 항상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감지덕지하는 우리 극장인지라 혹여라도 그런 데모질 같은 호사를 부리는 때가 오기나 했으면 좋겠네. 이 참에 박원순 서울시장님은 어서 아트시네마에 대한 지원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보고해주시라!

지인의 추천으로는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 How Green Was My Valley>는 반드시 봐야만 한다고 한다. 마지막 상영이 9월 25일 목요일 17:30에 남아 있음!



'암중모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년기  (0) 2015.04.28
올리베이라와 서울아트시네마  (0) 2015.04.05
RIP Alain Renais (알랭 레네)  (0) 2014.03.02
알랭 타네의 백색도시, 1983  (4) 2012.08.24
프랑수아 트뤼포의 <마지막 지하철, 1980>  (0) 2012.08.17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