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며 우리에게 보장되는 것은 무엇들이 있을까. 국가? 사회? 가족? 시스템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나의 가치를 인정 받고자 증명해야만 한다. 대학만 가면 어떤 삶이든 보장될 것처럼 말하던 이들도 있었다. 물론 살아보니 그것들은 높은 산을 오르며 ‘거의 다 왔어'라고 나를 어르던 것과 다르지 않음을 안다. 산을 오르고 나면 가벼운 마음으로 내려갈 일이라도 있지. <컴, 투게더>의 가족 앞에 기다리는 것은 흙탕물에 낭떠러지다. 많은 것을 바란 것도 아니었고 단지 평범하게 사는 것, 그 뿐이었는데 가장 어려운 일이 되버렸다. 이것은 재앙이다.

혹독하고 처절한 시간들을 통과하는 이 가족들에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자, 함께'라고 말하는 감독의 시선은 굳건하고 묵직하다. 그들의 감정을 시선으로 압도하거나 휘두르지 않고 줄곧 응시한다. 입시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딸 한나와 돌연 실직자가 된 범구 그리고 신용불량자 처지에 카드 회사에 다니는 미영. 영화는 각자의 일상과 공간들을 보여준 뒤 이들이 함께 식사하는 장면으로부터 출발한다. 한데 모여 머리를 맞대고 음식을 나눠 먹는 일 그러니까 ‘먹고 사는' 일이야말로 가장 쉽지 않은 세상이다.
딸 한나는 재수를 하며 또 한 번 대기번호를 받게 된다. 대학은 입시생들을 개인이기 이전에 수치화 된 대상으로서 희망고문을 할 뿐이다. 아직 대학 이후의 삶을 꿈꿔본 적 없는 한나에게 친구 유경은 기왕이면 너처럼 살라며 다른 삶도 가능함을 알려준다. 줄 세우기 경쟁에 내몰린 딸에 이어 아빠는 졸지에 사회(회사)에서 이탈하게 된다. 성접대를 받고 싶었던 상사의 눈치를 못 알아챘다는 게 퇴직 사유라면 사유다. 그가 밀려나고 그 자리를 채운 것은 젊은 신입 인턴 사원. 필요에 의해 대체된다는 것은 어떤 기분일까. 직장인으로서의 ‘질서’를 잃어버린 범구는 별안간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되면서 집에 늘상 존재해 온 아내의 식물과 반찬들을 마구 엉클어 뜨리기 시작한다. 정렬에서 벗어난 것이다. 이탈한 사람으로 보이지 않으려 층간 소음으로 찾아간 이웃 앞에서조차 재택 근무라는 핑계를 대며 정장 차림을 하고 있지만 그 또한 사회로부터 낙오된 범구를 알아본다.

미영이 마주하게 되는 경쟁 사회 또한 만만치 않다. 자신도 신용불량자라고 어렵게 고백하는 동료를 앞에 두고 역겹다고 돌아서는 데에서 주위를 둘러 볼 여유는 보이지 않는다. 경쟁 사회가 정말 무서운 것은 바로 이런 순간이다. 어느 순간 상대를 자신과 같은 사람으로 보지 못하게 된다는 것. 미영이 죽기 살기로 마지막까지 매달릴 곳은 ‘실적'뿐이었다. 무엇이 그녀를 그렇게 만들었을까?

<컴, 투게더>의 인물들은 나락으로 떨어지기 직전 우정과 연대를 통해 다시 발걸음을 어렵게 옮긴다. “조금만 더"를 얘기하는 이들 앞에서 ‘사람들이 죽어나간다'며 몸부림 친다. 과도한 경쟁과 고립, 그 질서로부터 벗어나도 된다는 것. 흙탕물에서 뒹굴지언정 앞으로 가게 될 이 가족의 길은 그 어떤 것보다 의미 있을 테다. 지금 여기에 희망을 데려다 놓고 함께 가자고 하는 <컴, 투게더>가 고마운 이유는 여기에 있다. 어디로든 '함께' 가면 된다.


AND